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8

우리나라의 국립묘지(국립현충원, 국립민주묘지, 국립호국원) 종류와 여러정보 통상적으로 국가에서 운영/관리하는 묘지라는 뜻이나, 보통 국립묘지의 경우 국가를 위해 헌신 및 희생 등의 공로가 있는 사람만이 안장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국가에서 국립묘지에 안장된다는 것은 그 자체로 매우 특별하고 명예로운 대우이다. 국가원수, 정부수반, 국회의원, 공무원, 경찰관, 소방관, 군인, 군무원, 교도관등의 국가유공자, 국가로부터 훈장을 서훈받은 사람 등이 사망 시 국립묘지에 안장될 자격이 있다. 다만 이런 조건은 나라마다 다르다. 국제 외교에서는 타국을 공식 방문한 국가원수나 사절단은 해당 국가의 국립묘지, 혹은 그에 맞먹는 추모 시설을 참배하는 것이 암묵적인 관례로 꼽힌다. 대한민국의 국립묘지 과거 국립현충원의 이름이 국립묘지였지만, 민주묘지나 국립호국원 등이 생김에 따라 사전적 의미 .. 2023. 6. 2.
국가유공자가 될 경우 받는 혜택 알아보기 되는 것은 어렵지만 일단 된다면 국가유공자에게 주는 혜택은 실로 막대하다. 괜히 사람들이 국가 유공자 선정과 급수 결정에 절박하게 매달리는 것이 아니다. 1. 보훈급여금 국가유공자의 유형과 상이등급에 따라서 매년 보훈급여금(연금)이 바뀐다.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경우 보통 독립유공자라고 부른다. 건국훈장의 등급, 건국포장 그리고 대통령표창 중에서 어떤 것을 받았느냐에 따라 보상금이 달라진다. 그리고 여기서 본인과 유족이 다르게 받는다. 건국훈장 중에서 제일 낮은 등급인 5등급은 본인의 경우 월 413만 원 정도를 받는다. 4등급의 경우 496만 원. 1~3등급은 803만 원 정도 받는다. 우와 하는 소리가 나올 수 있겠지만 참고로 건국훈장 1등급의 경우 청산리 전투에서 공을 세운 백야 김좌진이다. 그 외.. 2023. 6. 1.
국가유공자의 선정 기준과 종류 국가유공자(國家有功者)는 대한민국의 제도상 국가를 위하여 희생하거나 공헌한 사람으로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등에서 그 적용 대상자로서 규정한 자를 말한다. 대한민국 헌법은 국가유공자를 상이군경, 전몰군경과는 별개로 열거하고 있으나, 현행법은 후자가 전자에 포함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가유공자 및 그 후손은 법에 정해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에게는 등급에 따라서 연금·생활조정수당·간호수당·보철구수당 및 사망일시금이 차등 지급되며, 그 외에도 학자금 지급, 취업알선, 의료비보조, 농토·주택구입자금의 대부, 생활안정자금의 대부 등이 차등 지원된다. 국가유공자의 분류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국가유공자, 그 유족 또는 가족(다른 법률에서 '국가유공자법'에.. 2023. 6. 1.
서울 국립 현충원 안장자 명단(대통령/독립-국가유공자/군인/경찰) 서울 국립 현충원은? 서울 국립 현충원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동작동)에 소재한 국립묘지이다. 6.25 전쟁 발발로 인해 늘어나는 국군 전사자를 안치하기 위한 육군 국립묘지로 1952년 5월부터 계획되어 1953년 서울 동작동 부지 선정, 1954년 착공, 1956년에 개장, 안장이 시작되었다. 개장 당시의 명칭은 '국군묘지'였다. 1965년 국립시설로 승격되어 '국립묘지'로 불리었다. 이후 2006년에 '현충원'(顯忠院)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국방부 산하 기관이다. 개장 당시에는 6.25 전쟁 때 전사(戰死)했던 군인, 대한민국 군무원, 종군자 등을 안장하는 위주로 갔었으나, 국립묘지로 승격되면서 일제강점기 때 일제(日帝)에 맞서 싸우다 순국(殉國)한 애국자 및 독립유공자 등의 호.. 2023. 6. 1.
전쟁이 날때 피난 방법 / 위험한 장소 / 피난 루트 대피, 피난 고려 전쟁이 발발했다고 해서 일시에 모든 사회기능이 갑자기 마비되거나 멈추는 것이 아니다. 군, 경, 정부가 무너지지 않고 치안이 잘 유지되고 있다면, (혼란이 벌어지겠지만) 평소와 다르게 별일 없을 가능성이 높다. 이럴 때는 짐을 싸서 떠나기보다는 그냥 물자를 비축하고 안전한 집에 있으면서 국내외의 뉴스와 라디오를 포함한 여러 정보를 교차검증해 상황을 주시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특히 전선에서 먼 곳의 후방, 지리적으로 별 중요하지도 않은 시골과 촌에 사는 사람이면. 북한군이 00시 00지역으로 쳐들어온다든지, 예비군과 민방위들이 즉시 전선에 투입된다든지, 학도병 소집이 결정 났다든지, 하느님을 믿으면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던 지 하는 말도 안 되는 유언비어가 SNS를 통해 퍼질 가.. 2023. 5. 31.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나 빌딩, 송신탑(최소 500미터 이상)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나 빌딩, 송신탑(최소 500미터 이상) 어느 정도 높이 이상의 건물을 마천루로 분류할지에 대한 공식적이거나 세계 공통인 기준은 없고 보통 200m 이상의 고층 건물들을 마천루로 분류한다. 대한민국에서 초고층 건물은 건축법 시행령 제2조 18에 의하면 높이 200m 이상 또는 50층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이글에서는 500미터 이상의 건출물만을 다루기로 하겠다. 또한 탑 계열 같은 건축물은 비교를 위해 순위만 빠진 상태에서 기제하며, 사람 상주가 불가능한 전파송출 전용 타워 등은 제외한다. 13위 타이베이 101 (508m) 대만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초고층 빌딩. 정식 명칭은 '타이베이 금융센터'. 개장일인 2004년 12월 31일에서 2010년 1월 3일까지 세계 최고층 마.. 2023. 5. 31.
전시/비상시 비상시 국민들이 지켜야 할 기본 행동요령 / 비축 물자 전시국민행동요령 최근의 상황과 우리의 태세 수상한 사람이나 물체를 발견했을 때 신고 요령 비상시 국민들이 지켜야 할 기본 행동요령 전시나 비상시 피해가 났을 대 행동요령 민방공경보를 식별하는 방법과 지켜야 할 행동 비상시를 위하여 평소에 준비해야 할 물자들 화생방전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 최근의 상황과 우리의 태세 최근 북한의 경제가 최악의 상황에 처해 있고 가장 강력한 동맹국이었던 중국과 러시아가 과거와 같은 군사적 지원은 물론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북한이 자력으로 무력도발을 감행할 능력이나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전쟁은 우리가 전혀 예상치 못한 사소한 이유로도 일어날 수 있는 것인 만큼, 이에 대한 대비를 게을리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6·25 당시, 탱크 한 대도.. 2023. 5. 31.
민방위 편성 대상과 제외 대상자 / 민방위법 위반자 과태료 정보 민방위란? 평시에는 민간인 신분이었다가 전쟁이 발발하면 군인으로 신분이 변경되는 예비군과 달리 민방위는 전시에도 민간인 신분이고, 군복이나 무기를 지급받지 않아서 국가에서 전투원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국방부에서 관할하는 예비군과 달리 민방위는 행정안전부에서 관할하기 때문에 군인과는 무관하다. 1975년에 창설되어 지금까지 시행하는 중이다. 총인원은 2018년 12월 기준 약 362만 명이다. 만 20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부터 만 40세가 되는 해의 12월 31일까지 군 복무를 마친(예비군까지 포함하여 마친) 남성이 민방위 소집 대상이고 전시근로역 판정을 받은 남성 역시 소집 대상이다. 오로지 병역면제(6급)를 판정받은 남성만 면제된다. 전쟁이 발발하면 45세까지 소집 연령이 연장되고 전황이 악화된다고.. 2023. 5. 31.